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챗GPT에게 인어공주, 토끼와 거북이, 신데렐라에 대해서 물어 보다.
    별일 별꼴-내피셜 2023. 1. 29. 19:59
    반응형

    얼마 전 카카오 서비스 장애가 생겼을 때 경험한 바 있지만 일개 서비스가 장애를 일으켜도 전국민이 큰 불편을 겪는데 만약 인터넷 서비스 자체가 장애가 생겼을 경우에 일어날 국가적 혹은 전세계적인 혼란과 불편을 상상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그런데 이렇게 우리 일상생활과 뗄래야 뗄 수 없는 인터넷이 우리 실생활에 들어 온지는 30년이 되지 않았다. 지금 20대의 경우에는 태어나자 혹은 어렸을 때부터 이러한 환경에 노출이 되었겠지만 50대 혹은 이상의 세대는 성인이 되어서야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맞이했다고 보면 된다. 

     

    1990년대 중반에 인터넷이라는 것이 소개되기는 했지만 국내에서는 97~98년 부터 서비스가 되기 시작했다고 생각이 된다. 그즈음 집에 인터넷 회선을 설치했는데 넷츠GO인지 렛츠GO인지를 통해서 인터넷을 했었다. 물론 지금은 없어졌다. 

     

    아래는 내가 경험한 굵직굵직한 인터넷 혹은 기술적인 진보를 이룬 서비스가 개시 된 시기인데 2000년대 이전의 서비스들의 경우에는 정확한 날짜를 기술하기가 어렵다. 지금은 세계적인 기업이 된 구글도 처음에는 여러 과정을 거쳐서 구글이라는 이름의 서비스를 시작했고, 다음이나 네이버 역시도 처음에는 완전체가 아닌 특정 서비스 하나로 시작하였다가 이후 조금씩 그럴싸한 형태를 갖추고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했으니 말이다. 

     

    구글이 나온지는 20년이 조금 넘었고, 유튜브는 20년이 채 안되었고, 스마트폰의 시작인 아이폰이 나온지는 15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바둑 세계 1인자 이세돌을 꺾어서 인공지능의 위력을 세계에 보여줬던 알파고는 불과 7년전의 일이었다. 

     

    - 야후 Yahoo:  1995 / 3 / 2

    - 구글 Google: 1998 / 9 / 4

    - 네이버 Naver: 1999
    - 다음 Daum: 1999
    - 유튜브 YouTube:  2005 / 2 / 14

    - 트위터 Twitter: 2006 / 3 / 21

    - 아이폰 출현 : 2007 / 6 / 29 

    - 인스타그램 Instagram: 2010 / 10 / 6

    - 알파고와 이세돌 바둑 : 2016 / 3 / 9 - 2016 / 3 / 15

    - 틱톡 TikTok:  2016 / 9 (as Douyin)-해외서비스는 2017년 이후 지역별로 순차적으로 시행
    - 챗GPT : 2022. 11.30 

     

    그리고 또 하나의 획기적인 기술이 소개되었으니 불과 2개월전에 세상에 나온 챗GPT이다. 정보의 바다라고도 불리는 인터넷은 이제 정보의 바다를 넘어서 넘쳐나는 정보들로 인해서 어느 정보가 정확한 것인지 혹은 어느 정보를 받아들여야 할 지 고민에 빠질 정도로 정보의 과잉시대에 접어들었다. 

     

    그런데 만약에 그 수많은 정보를 정리해서 내게 딱 맞는 정보를 눈 앞에 보여준다면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크게 환영할 것이다. 검색 뿐이 아니라 마치 인간을 마주 대하고 있는 것 처럼 어떤 사항에 대해서 문장을 쏟아내는 능력 앞에서는 놀라움을 느끼게 된다. 

     

    질문 1. 인어공주가 어부에게 잡혀서 생선회가 되었다는 것이 사실인가요?

    챗GPT 답변 : Hans Christian Andersen이 쓴 The Little Mermaid의 이야기에서 인어공주는 왕자의 사랑을 얻기 위해 자신의 목소리와 꼬리를 희생하여 인간이 됩니다. 그러나 왕자는 다른 사람과 결혼하고 인어공주의 마음은 찢어진다. 그런 다음 그녀는 바다 거품으로 녹지 만 그녀의 영혼은 별이되고 영혼을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인어공주는 생선회가 되지도 않았고 어부에게 잡히지도 않았습니다.

     

    질문 2. 이솝우화 토끼와 거북이에서 토끼가 잠이 든 것은 수면제를 먹어서인가? 

    챗GPT 답변 : 이솝 우화 "거북이와 토끼"에서 토끼는 자신만만하고 자신이 얼마나 빨리 달릴 수 있는지 자랑합니다. 거북이는 그에게 경주를 신청하고, 토끼는 쉽게 이길 것이라고 확신하며 시간이 충분하다고 믿고 경주 중에 낮잠을 잔다. 한편 거북이는 꾸준히 결승선을 향해 달려가 경주에서 이깁니다. 토끼는 수면제 때문이 아니라 과신과 게으름 때문에 늦잠을 잤다.

    질문 3.신데렐라가 왕자의 마음을 얻기 위해 샤넬 향수를 사용했다는 것은 사실입니까?

    챗GPT답변 : 신데렐라는 계모와 이복 언니들에게 학대받는 어린 소녀의 이야기를 담은 동화입니다. 신데렐라는 왕실 무도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아름다운 드레스와 마차를 제공하는 요정 대모의 도움을 받습니다.

    원작 동화에서 신데렐라는 왕자의 마음을 얻기 위해 향수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야기에서 그녀의 요정 대모는 그녀가 무도회에 참석하고 왕자와 함께 춤을 추도록 도와 주지만 향수 나 특정 브랜드에 대한 언급은 없습니다.

    샤넬은 1909년 가브리엘 "코코" 샤넬이 설립한 명품 패션 브랜드로 동화 신데렐라와는 무관합니다. 신데렐라가 왕자의 마음을 얻기 위해 샤넬 향수를 사용한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위의 3가지 질문을 구글이나 네이버와 같은 검색 엔진에 넣으면 절대 위의 같은 답변을 얻을 수 없다. 인어공주와 생선회, 이솝우화 토끼와 거북이에서 토끼와 수면제, 신데렐라와 샤넬 향수는 아무 연관도 없는 단어들이기 때문이다. 챗GPT의 경우에는 이러한 질문을 했을 때에도 질문의 오류를 정확히 알고 제대로 된 답을 말해 준다.  아직까지는 오류가 있다고는 하지만 지금까지 보여 주는 능력만으로도 일부 부족한 것들을 상쇄하고도 남는다고나 할까?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